'파밍 공략'에 해당되는 글 6건

  1. 2014.05.29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기본장비 공략 2
  2. 2014.05.29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기본장비 공략
  3. 2014.01.03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2 (biogas plant)
  4. 2013.12.16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2 (소양 밥주기)
  5. 2013.12.16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1 (수확하기) 1
  6. 2013.12.06 Farming simulator 2013 용어 정리집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기본장비 공략 2

|


똥으로 거름을 주기위한 장비들이다

우르수스같이 트랙터에 로더가 달린 형식이라면 이것을 쓰면되고

와이드맨을 쓰는 경우 이것을 쓴다. 사일리지도 퍼다 나를수있다

매뉴어 스프레더도 구입을 합니다

소의 거름은 적어도 100마리 내외는 있어야 눈에 띄게 모이는 편

적절하게 퍼서 넣어주면 되는데 나를때 삽이 밑쪽을 향하면 그냥 떨어져서 없어지니 조심해야한다 




분사를 하면 된다. 

효율은 기본장비 기준으로 비싼 장비를 써도 비료(fertilizer) 분사기가 나은편이다. 대신 이건 채우는데 돈이 필요하다 

게임상에서 생산성은 똑같고 비료를 뿌린곳에 거름을 뿌려도 생산성은 같다

(참고로 풀에는 거름이나 비료를 안뿌려도 된다)

slurry분사기도 게임상 비료나 거름처럼 생산성은 같다

슬러리 저장소는 소목장 주변이나 사일리지 발효장 주변(동글동글한 공장)에 있다

슬러리는 빨리 모이지않고 저장소에 저장을 많이 할수있다

이곳에서 리필을 하면 된다

거름이나 슬러리는 오리지날로 즐기는 유저들한테는 후반용 컨텐츠고 효율도 썩 좋지만은 않으니

멀티의 경우엔 비료 분사기를 쓰는게 편하다

감자를 수확할때 쓰는 장비들이다. 이것도 콤바인은 등골이 휠정도로 비싼편

감자는 위쪽 줄기부분을 먼저 잘라야 수확이 가능하다

줄기를 자르면 이것으로 수확하면 된다

혼자 즐긴다면 두개 다들고 다니면 된다



수확을 끝냈으면 사출구를 내주고 받으면 된다

사탕무를 수확할때 쓰는 장비다. 콤바인은 여전히 비싸다

사탕무도 윗쪽 잎을 제거해야 수확이 가능하다

(지금 보는곳은 이미 수확이 끝난곳이다. 원래라면 무처럼 심어져있다)

이렇게 트랙터 뒤에 붙이고 끌고가면 잎이 제거되서 수확이 가능하다.

이것도 사출구를 열어서 트레일러로 받아야한다


////////////////

여기까지 기본장비편을 마친다




And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기본장비 공략

|


오리지날하게 기본장비를 즐기는 유저를 위한 공략이다


옥수수를 체프로 만들때 쓴다 (소, 양 먹이로쓸 사일리지의 재료)

효율은 콤바인의 절반이나 값싼편이니 쓰는 편

받아줄사람이 없다면 싼 트레일러를 뒤에 붙이는것도 하나의 방법


어느정도 모였으면 발효장으로 가서 부으면 된다


소 여물줄때 쓰는 장비이다. 밀이나 보리를 캘때 짚이 나오고 짚을 수거하여 베일로 만들어서 저장하는데

베일을 다시 짚으로 해체시키는 장비라 생각하면 되겠다

설명을 위해 로더가 달린 우르수스에 베일용 포크를 달았다

베일을 원래는 한곳에 모아놓고 작업하는 편이 수월하나 여기선 다루지 않겠다

싼장비를 쓴다면 베일용 포크를 지원하는 장비를 끌고 가면 된다



고도의 컨트롤로 넣어주면 된다

넣고 포크를 빼준다는 느낌으로 빼준다



소 여물통쪽으로 가서 뿌려주면 된다



디스크 모어는 상점의 3가지 말고는 콤바인 모어밖에 없는데 값이 엄청나다.. 등골이 휠수준

물론 엄청난 효율을 자랑하니 여유있다면 구비해놓는게 좋다

잔디깎이 기계(profihopper)는 효율이 극악이니 안쓰는 편이 낫다


디스크 모어들은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가능하다. 

위 사진정도면 무난하게 할수있다


이런식으로 할수있다


자기마음대로 붙여보자

풀을 마른풀로 바꿔주는 건초기다. 이 작업을 하면 베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초록색)



풀을 모아주는 장비다. 이 작업을 해야 풀을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모을수 있다.

오른쪽 흰색 부분에 모이니 생각하면서 모아야 편하다


베일용 기계인데 원형 또는 사각형(밑)으로 모을수있다

특별한 차이는 없으나 원형이 편하다. 사각형은 위쪽에 오토스택을 살여유가 되면 구입하는게 좋다

마른 풀을 모으면 된다

마른풀이 아닐경우 모이지 않는다



/////////////////

여담으로 뒤에 부착이 가능한 트레일러가 몇몇있는데 효율은 나쁘진않지만

엄청난 컨트롤을 요구하니 시도해보는것도 재미있다


And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2 (biogas plant)

|

바이오가스 플랜트는 사일리지나 각종 베일, 곡식등을 수용할수 있습니다

게임내에서는 사일리지가 가장 효율이 좋으니 사일리지로 하겠습니다


바이오 플랜트는 동글동글한 지붕을 가진곳으로 가시면 있습니다


바이오 플랜트에도 사일리지 작업을 해줍니다

덮어주고 기달리면

사일리지가 나오는데요

주변에 플랜트에 넣어주는곳에 로더달린것으로 퍼넣어주시면 됩니다





남은 공략은 온실재배하는것인데요 링크로 단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dokong2/20172439174 

이분은 멀티분들중 블로그와 카페 매니저를 하시는 분입니다. 저보다 경험도 많구요. 공유하시는 모드 역시 많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예.. 여기까지 파밍에서 즐길수있는 큰테두리의 컨텐츠는 끝입니다 

풀뒤집어서 작업하는것과 슬러리, 똥푸기등 조그마한 컨텐츠도 있으니 재밌게 하시길 바랍니다

 

짜잘하게 안다룬건 닭을 사서 계란을 줍고 계란파는곳에서 파는것 정도입니다~


And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2 (소양 밥주기)

|


소와 양에게 줄 풀을 벱시다.

krone big M 500 이며 상점에 있습니다 

원래 가격이 비싼 저런 모어보단 트랙터에 디스크모어를 붙이고 하는편이 일반적이나..

욕심내서 큰 땅덩어리를 소유중이기 떄문에 시간이 오래걸려 여기선 이걸로 하겠습니다


풀을 쭉 베신후 저는 풀을 모아서 주는쪽으로 하겠습니다 





저는 덤프 mod를 썻기떄문에 풀을 한곳에 부어놓겠습니다

풀은 사일리지 발효장에 놔도 됩니다 


덤프 mod가 없으시면 풀을 모으고 tedder로 말리고 베일로 만들고 베일을 포크로 집어서 믹싱기에 넣으면 됩니다

체프를 옥수수에서 얻습니다


사일리지 저장소쪽으로 가서 부어주세요

저장소에 풀을 부어도 상관없습니다

wheel loader를 사신후 밟아주세요. 앞뒤로 왓다리갓다리하면 compacting이 늡니다

일반 트랙터나 장비류는 다됩니다만.. 휠로더가 쓸데가 많습니다


양은 100%다 안채우셔도 됩니다

compacting이 100%가 되면 R을 눌러서 덮어줍니다


소에게 깔아줄 짚을 얻기위해 밀이나 보리를 캐시고 남은 짚을 baler로 모아줍니다

콤바인마다 다른데 disable chopper를 하셔야 짚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는 원형 baler로 모았습니다. 사각베일도 상관없습니다


베일이 나온후 열린상태에서 X키를 누르시면 출구가 닫히면서 계속 작업하실수 있습니다



베일 작업이 끝나면 포크를 사서 로더가 있는 트랙터에 붙이시고 

베일에다 꽂은후 Z키를 누르시면 고정이됩니다 (고정키가 없는 경우엔 그냥 집으시면 됩니다)


베일 운송 트레일러도 사서 한꺼번에 작업하시면 됩니다

넣으시고 detach하시면 어느정도 고정이됩니다 (detach가 없는 경우 천천히 빼내시면 됩니다)



허허..

트레일러를 붙여서 축사근처나 동물 mod가 있으시면 짚을 깔아줄 동물근처에 놓으시고

믹싱기를 하나 구하셔서 가까운곳에 놓고 하나씩 넣어주시면 됩니다

넣으시면 알아서 믹싱기에서 짚으로 변합니다

100%찼으면 축사로 가셔서 넣어주는곳에 놓아주시면 됩니다

이것이 뜨면 몇일은 안줘도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저장고에 사일리지가 생기는데

아까 짚단에 쓰신 트레일러 형식 믹싱기보단 쉽게 빨아들일수 있는 트랙터 형식 믹싱기를 구비하는게 좋습니다

B를 누르시면 사일리지를 빨아들이는데 40%쯤 차면 그만 빨아들이고

풀 부어놓은데나 저장고에 가셔서 나며지 60%를 빨아들이시면 적당하게 됩니다

만약 믹싱 비율을 조절을 잘못하면 옆에 풀 아이콘이 빨갛게 되어 독초가 되는데요

줘도 상관은 없지만 생산성이 좀 낮아지겠죠

(위에서도 말했지만 덤프가 없을경우엔 풀 베일작업을 하시고 넣으시면 됩니다)

이제 사료통에 넣으시면 됩니다


양도 마찬가지로 믹싱기에 넣어서 부어주시면 됩니다

mod마다 다른데 어떤맵은 동물들에게 짚단, 물, 먹이를 줘야하는곳도 있으니 그떄그때 적절하게 넣어주시면 됩니다


소는 생산성이 높아지면 거름용 똥, 슬러리, 우유 생산속도가 높아집니다


양은 양모 생산속도가 높아집니다




 


And

파밍시뮬레이터 2013 (Farming simulator 2013) 공략 1 (수확하기)

|

기본맵 hagenstedt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처음부터 적은돈으로 오리지날로 즐기시기엔 좀 힘든 면이 있지만 이것도 소소한 재미라 생각되어 올려봅니다

저는 멀티플레이하던 사람들이 썻던 모드들을 쓰고있으니 화면에 보이지않는것들은 신경쓰지 않으셔도됩니다

시작하고 농장쪽에 세워져있는 콤바인에 탑승합니다

부착하시고

v -> b 키나 b를 누르시면 커터가 돌아갑니다

속도는 숫자 1 2 3 을 누르시면 속도가 고정이 됩니다. 1은 느리고 2는 중간 3은 최대속도입니다




1500/100% 모였으니 사출구를 내줍니다

O키입니다

esc로 맵을 보시면 트랙터가 있는데 선택하시면

트랙터에 탑승하게 되는데 뒤에 트레일러를 붙여서 받으러 가시면 됩니다

받으시면 되요




수확이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받아주고

저장고로 가시면 됩니다

언로드가 활성화가 되면 Q를 누르세요

혹시 great demand가 뜬다거나 작물을 파실때는 여기서 받으시면 됩니다

PDA-statistics에서도 양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설정을 안푸셨다면 중간중간 아르바이트 비슷하게 일이 들어오는데요

(required equipment) 일하는데 요구하는 장비가 없다면 거절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저는 팔렛포크나 프론트 로더가 없으니 deny하겠습니다

이제 밭을 갈아야죠. 앞에 붙이는건 무게추인데 붙이면 안정성이 늡니다

쟁기를 붙입니다

V키를 누르시면 쟁기가 내려가면서 준비가 됩니다



다 갈았네요

이젠 파종기(plow)로 씨를 뿌려야합니다

여기서 R을 눌러 충전을 합니다 

PDA에 prices 탭으로 가시면 어떤 상점이 어떤 작물을 높은 가치로 사는가 확인할수 있습니다

저는 farm shop에 팔 카놀라를 선택하겠습니다

O키로 작물을 바꿀수 있습니다

V키를 누르시면 준비가 됩니다




파종이 끝났습니다. 

원래는 비료도 뿌리는 편이 좋지만 제일 처음 접하신분들에겐 게임상 돈도 별로없고 mod도 치트도 생소할테니 

여기선 빼도록 하겠습니다



씨를 다뿌리시고 esc를 누르시고 타임스케일값을 x120으로, 자라는 속도를 fast로 하시면 금방 자랍니다

물론 다 자란후에 원래값으로 돌려놓아야합니다. 안그러면 다 죽거나 썩어서 수확을 할수 없습니다



기계에 타시고 H를 누르시면 일꾼을 고용할수 있습니다

몇초당 돈이 조금씩 빠지니 적절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간에 고용해놓고 담배피러간다던지..

어디 길이 막혀서 못가거나 콤바인이 다차면 가만히 서서 돈만 빼먹으니 자주 확인해줘야합니다



여기까지 가장 기본이 되는 수확에 대해 알아봣습니다








And

Farming simulator 2013 용어 정리집

|



0. 인터페이스

Hagenstedt = 독일식 지역 명칭 ? (그냥 기본 맵 이름)

abort game = 게임 포기, 나가기

Timescale = 시간 빠르기

Mission frequency = 미션 빈도

Great demand = 수요가 많음 



1. 기본 농작물

Wheat = 밀

Barley = 보리

Canola = 카놀라 (유채의 한종류 입니다. 영어 이름이 rape이기도 함)

Corn = 옥수수

Potatoes = 감자

Sugar Beet = 사탕 무

Grass = 풀

(곡물 모드 사용시)

Oat = 귀리 (오트밀은 귀리를 가공하여 만든 것입니다)

Rye = 호밀 (밀과 흡사하나 제분시 거친가루가 나오며 식이섬유가 밀보다 많음)

Cucumber = 오이 

lettuce = 상추



2. 농사

Growing = 자라는중

Ready to harvest (remove top) = 수확 준비 (사탕무의 경우 줄기부분을 제거해야 수확이 가능합니다)

Hire worker = 일꾼 고용

3. 기계

Tractors = 트랙터

Harvesters = 수확기 

combine harvester = 수확기 (주로 콤바인으로 짧게 씁니다)

Tools/trailers = 트랙터, 수확기를 제외한 나머지 장비들

Attach = 붙이다



4. 상점

balance = 잔고 

Maintenance = 유지비

sorted by Machine Type = 기계종류에 따른 분류

Tippers = 덤프트럭

Plows = 쟁기 (땅을 갈아엎어 잡초를 제거하고 토양을 다공성(多孔性)으로 만든다)

Cultivators = 경작기 (밭을 갈고 흙을 고르는 작업 따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농사용 기계)

Sowing Machines = 파종기 (씨뿌리는 기계) 

Fertilizer Spreaders = 비료 분사기

Autostack = 자동쌓기

Loading volume = 운반 용량

baler = 포장기 (건초, 풀 등)

Windrower = (건초용으로) 풀을 베어 줄줄이 널어 놓는 기구 

slurry = 슬러리(동물 배설물에 점토, 분탄, 시멘트 따위를 섞은 걸쭉한 물질)



5. PDA

inn = 여관, 주막

Mill = 방앗간, 제분소

Port = 항구

Freight Yard = 화물 운송장 (기차 있는곳)

Construction = 건설

property Maintenance = 소유물 유지비

wage Payment = 일꾼 급여

income = 수입

loan interest = 대출 이자

threshed area [ha] = 수확한 면적

sown area [ha] = 씨뿌린 면적

fuel usage [l] = 연료 사용량

Productivity = 생산성

Liquid manure [l] = 물로된 거름

Manure [l] = 거름

Feeding trough [A] [l] = A에 준 먹이량

Straw = 짚

Mixing ratio = 혼합비율

Hay = 건초

silage = 사일리지(가축의 겨울 먹이로 말리지 않은 채 저장하는 풀)



And
prev | 1 | next